입력 2025.11.05 14:59
숭실대학교 한국학연구소(소장 차봉준)가 지난 10월 30일(목) 숭실대 벤처관에서 ‘한국학의 미래와 전망Ⅶ–한국 전통연희의 계승과 변용’을 주제로 제7차 콜로키움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한국학연구소는 한국학 성과의 해외 확산을 위해 매년 4회의 정기 콜로키움을 열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 한국학의 동향을 파악하고 한국 전통문화와 예술의 미래를 모색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K-학술확산연구사업을 주관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후원으로 진행됐다.
1부 ‘해외 한국학의 동향 파악’ 세션에서는 장호종 카자흐스탄 아블라이 한 국제관계·세계언어대학교 교수가 ‘카자흐스탄의 한국학 현황’을 주제로 발표했다. 장 교수는 카자흐스탄 현지 대학의 한국학 교육 현황을 소개하고 한국학 교원의 재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부에서는 정호재 사물놀이연구소 대표가 ‘사물놀이의 세계 진출 경로와 문화적 수용’을, 김은희 한국예술종합학교 박사가 ‘한국 전통연희의 문화적 공감’을 주제로 발표했다. 두 발표에서는 한국 전통연희의 계승과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성과가 공유됐다.
한국학연구소 차봉준 소장은 “한류를 통해 세계적 주목을 받는 한국의 문화와 예술은 이제 한국학의 토대 위에서 한 단계 성숙한 연구로 발전해야 할 시점”이라며 “사물놀이를 비롯한 전통연희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이를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한 학술적 탐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숭실대 한국학연구소는 2023년 9월 한국학진흥사업단 K-학술확산연구소지원사업에 선정돼 ‘프리즘 한국학: 한류 문화콘텐츠에서 전통 한국예술까지’를 주제로 2028년 8월까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