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사이버대 인공지능학과, '생성형 AI(LLM) 이론과 실습' 온라인 특강 시리즈 공개

세종사이버대 인공지능학과, '생성형 AI(LLM) 이론과 실습' 온라인 특강 시리즈 공개

입력 2025.07.03 09:37

관련 사진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신구) 인공지능학과는 지난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4일간 연속으로 ‘생성형 AI(LLM)이해와 활용’ 수업과 연계해 LLM 최신 이론에 대한 온라인 실습 특강 4편을  학과 커뮤니티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 시리즈는 3학년 1학기 ‘생성형 AI(LLM)이해와 활용’ 수업 수강생들의 추가 요청을 반영해 기획됐다. Google Colab 실습 코드와 함께 수업 내 이론과 관련된 최신 LLM 실습 코드를 제공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4일간 특강은 각각 ‘트랜스포머 코드 구현해보기’, ‘DPO(Direct Preference Optimization) Trainer를 활용한 LLM의 Human Alignment 높이기’, ‘가지치기 기법을 활용한 LLM 파라미터 수 줄이기’, ‘전문가 혼합(MoE) 모델을 다양하게 구현하고 비교해보기’를 주제로 이어졌다. 
첫 번째 특강인 ‘트랜스포머 코드 구현해보기’는 4주차 ‘트랜스포머 전과 후의 언어모델2: 트랜스포머와 거대언어모델’ 수업과 연계돼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의 핵심 구조를 직접 코드로 구현해보는 실습으로 구성됐다. 
두 번째 특강인 ‘DPO Trainer를 활용한 LLM의 Human Alignment 높이기’는 8주차 ‘인간피드백을 활용한 미세조정’ 수업 내용을 심화시킨 것으로,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해 언어모델을 더욱 인간의 가치와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최신 기법을 다뤘다. 
세 번째 특강인 ‘가지치기 기법을 활용한 LLM 파라미터 수 줄이기’는 9주차 ‘모델 추론 최적화’ 수업과 연관돼 거대언어모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파라미터 압축 기법을 실습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마지막 네 번째 특강인 ‘전문가 혼합 모델을 다양하게 구현하고 비교해보기’는 13주차 ‘소형 언어모델과 새로운 아키텍처’ 수업의 연장선으로, 최신 언어모델 아키텍처인 MoE(Mixture of Experts) 모델의 다양한 구현 방식을 비교 분석하는 고급 실습으로 구성됐다.   
모든 특강은 Google Colab 환경에서 실행 가능한 실습 코드와 함께 제공된다. 아울러 각 특강마다 해당 유튜브 영상을 통해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구성돼 수강생뿐 아니라 실습 중심의 심화학습 자료를 희망하는 일반인들에게도 도움 될 수 있도록 구성했다고 학과 측은 설명했다. 
김효정 세종사이버대 인공지능학과 교수(학과장)는 “이번 온라인 실습 특강 시리즈는 ‘생성형AI(LLM) 이해와 활용’ 수업에서 다룬 이론적 내용을 실제 코드 구현을 통해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됐다”며 “특히 트랜스포머부터 최신 MoE 모델까지 LLM 기술의 핵심을 단계적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구성해 수강생들이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Google Colab을 활용한 실습 환경과 유튜브 영상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고사양 하드웨어 없이도 최신 LLM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게 됐다”며 “재학생뿐만 아니라 LLM 실습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도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학습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 시대에 필요한 실무적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생성형AI(LLM)이해와 활용’ 수업은 생성형AI와 거대언어모델(LLM)의 기반이 되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부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파인튜닝, 검색-증강-생성(RAG), LLM 에이전트, 멀티모달 거대언어모델까지 15주에 걸쳐 체계적으로 다루는 커리큘럼으로 구성돼 있다.
세종사이버대 인공지능학과는 대화형AI와챗봇, 프롬프트엔지니어링, AI트랜스포메이션, AI활용소프트웨어개발, 파이썬으로배우는머신러닝(ML), 강화학습, 비즈니스AI프로젝트실무 등 최신 AI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 비전문가도 쉽게 AI 기술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기존 IT 종사자들에게는 AI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AI시대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학과 측은 전했다. 
특히 AI데이터 전문가, 생성형AI 전문가, 딥러닝 전문가의 3가지 전문가 과정을 통해 국제자격증과 국가공인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SQL개발자(SQLD),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 클라우드 등 국가공인자격증과 국제자격증 취득을 위한 소모임을 활성화해 자격증 취득 성공 사례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세종사이버대 인공지능학과는 현재 2025년 가을학기 신·편입생을 모집하고 있다. 고졸 학력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온라인 수업을 통해 직장생활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다. 
특히 산업체 종사자와 군인을 위한 맞춤형 전형을 제공하여 장학금 혜택과 함께 탄력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입학 관련 상세한 정보는 세종사이버대학교 홈페이지 입학지원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