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연구팀, 3D 나노프린팅 기술로 금속 나노팁을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론 제시

한림대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연구팀, 3D 나노프린팅 기술로 금속 나노팁을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론 제시

입력 2025.05.27 10:36

▲ 왼쪽부터 엄성재 학부생, 허다문 대학원생, 이종민 교수
한림대학교(총장 최양희)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소속 학부생 엄성재 학생이 수행한 연구, ‘메니스커스 유도 3D 나노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Au 나노 팁 제작 연구(Fabrication of Au nanotips via meniscus‑guided 3D printing)’가 최근 SCIE 학술지인 한국물리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_JKP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이종민 교수 지도 아래 엄성재 학부생, 나노융합스쿨 허다문 대학원생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금속 나노팁 제작은 AFM(Atomic Force Microscopy),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등 초정밀 분석을 위해 팁이 필요한 장비들에 응용되므로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며, 기존에 금속 나노팁을 제작하는 방법인 전기화학적 에칭 방식은 다양한 변수로 제어가 까다로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메니스커스 유도를 기반으로 한 3D 나노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금속 나노 팁을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
메니스커스 유도 기반 3차원 나노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간단한 제작 공정으로 최소 100 nm 미만 수준의 Au 나노팁을 제작했는데, 연구팀은 제작 과정에서 프린팅 속도에 의해 구조물의 직경이 줄어듦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 나노미터 스케일의 Au 나노팁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추후 조건을 최적화하여 안정적으로 일정한 사이즈의 나노팁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엄성재 학생은 “처음 쓰는 논문이라 우여곡절이 정말 많았고, 실험에 익숙해지는 것부터 논문 형태의 글을 쓰는 등 많은 새로운 일이 쉽지는 않았지만, 연구실 동료들과 협력해가며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게 되어서 매우 뿌듯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지도교수인 이종민 교수는 “엄성재 학생이 짧은 시간 안에 훌륭한 성과를 거둬 기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우수한 논문을 계속 배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