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3.04.10 14:02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은 1972년 산업미술대학원 패션전공으로 출발하여 21세기 글로벌패션산업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2018년 신규 개원했다. 이후로 패션디자인, 패션액세서리디자인, 패션비즈니스, 패션뷰티디자인의 4가지 세분화된 전공 과정을 통해 글로벌 패션 산업을 선도할 실무형 인재 양성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은 개원 이래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외형적으로는 패션대학원으로 특화, 전문화됐으며 내부적으로는 한국 패션산업의 발전과 함께 시대를 선도하는 패션 전문가를 양성했다.
졸업 이후 패션디자인 산업을 이끌며 활동할 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해 전통적인 패션 디자인 교육과정을 개선해 시대 흐름에 발 맞춘 교과 과정을 갖췄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인 디자인 재능을 발휘하고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패션디자인 고등교육기관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특히 현 시점 청년 취업난의 지속, 1인 브랜드 창업 증가, 디지털 기술의 발전 및 활성화로 인한 패션산업의 변화,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증가 등 패션산업 전반에 걸친 이슈나 미래 방향에 맞춘 실무 연계형 프로젝트성 관련 교과목을 지도한다.
이론과 실무가 결합된 교육을 위해 최신 기자재 구비 등 국내 패션 교육 기관 중 최고의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개별 스튜디오, 패턴 및 봉제, 디지털 작업, 연출 전시 등 다양한 공간을 마련해 창작 및 연구활동을 지원한다.
◎ 패션디자인 전공, 실무 전문가 대거 포진
패션디자인 전공의 가장 큰 특장점은 교수진의 대부분이 패션 디자이너나 패션브랜드 대표로 활동중인 실무 전문가들이라는 것이다.
실무형 인재 양성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만큼 자신의 전공과 업무영역에서 경력을 인정받고 잔뼈가 굵은 교수진을 갖추고 있어 학문적 이론 학습을 기반으로 한 대부분의 대학원들과 대비된다.
실무를 경험해 보았거나 지금도 활동중인 전문 교수진이 포진해 있어 차별화를 이뤄냈으며 국내 대학원 최초로 2019년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주최하는 국내 패션 브랜드 페어 '패션KODE'에 참여했다.
매년 전시와 쇼를 개최해 국내 언론 및 패션 관계자는 물론 국내외 바이어들에게 역량을 알리고 있으며 지난 2022년 무신사테라스에서 홍익패션위크 쇼를 기획해 재학생들의 완성도 높은 작업물을 선봬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패션디자인 전공 재학생들은 패션 브랜드 대표, 패션 및 텍스타일 디자이너, 패터너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실무형 인재 양성'을 내세운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을 졸업 후 브랜드 창업 및 취업, 컨설팅은 물론 아트 디렉터까지 자신의 꿈을 위한 전문성을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혁신, 패션액세서리디자인 전공
세계적인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액세서리의 개념이 변화하고 활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시점에 패션액세서리디자인 전공은 핵심 가치로 디자인적 사고와 현장감 있고 창의적인 패션 산업을 위한 혁신을 내세운다.
핸드백, 풋웨어, 주얼리 등 철학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브랜딩은 물론 전문성을 갖춰 글로벌한 패션액세서리디자인에 맞는 창의적인 전략과 접근 방식을 가진 커리큘럼으로 이뤄진다.
디자인 사고 및 방법론을 확장하며 실험 및 전개를 통한 디자인을 위한 디지털 기술 활용, 전문 업계와의 연계를 통해 소스를 제공받도록 커리큘럼이 짜여져 있으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해 전문적이며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현할 수 있는 현장 경험의 기회를 마련했다.
◎ 패션비즈니스전공, 흐름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핵심 인재 양성
패션비즈니스 전공은 국내외 브랜드 경영 경력을 통해 이론과 실력을 겸비한 교수진들이 포진해 있다.
브랜드와 산업체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인 패션문화산업의 흐름을 정확히 진단 및 판단하고, 이를 분석해 향후 미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익혀 이를 제품 기획과 생산 및 유통과정에 접목해 업계를 혁신하고 선도할 수 있는 마케팅 및 머천다이징 능력과 리테일, 클라이언트 비즈니스 등 실무 위주의 능력을 배양한다.
국내 최고의 패션 매거진 편집장을 역임중인 교수를 비롯해 약 20년 이상 국내외 패션 비즈니스를 운영중인 교수들이 본인들의 경험에서 비롯된 특화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창업 관련 실무 컨설팅, 멘토링 등을 통해 재학생들을 지원하고 있다.
그 외 급변하는 패션 패러다임에 발 맞출 수 있도록 다양한 실무 전문가 초빙을 통해 현장 위주의 실질적인 교육방법으로 지도한다.
◎ 패션뷰티디자인 전공, 트렌디한 아이디어 발전과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 탐구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뷰티산업과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를 통해 현재와 미래의 패션뷰티디자인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패션뷰티디자인 전공은 스튜디오 교육 및 다양한 디자인, 비즈니스 과목을 제공한다.
패션뷰티 디자인과 비즈니스에 대한 균형감 있는 시각을 길러 개개인의 전공과정에 대해 심도있는 연구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이론적 연구를 기반으로 개별적 디자인 프로세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연구과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단편적 결과 도출보다는 뷰티산업의 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시각에서부터 하나의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는 창의적인 패션뷰티디자인에 대한 접근을 지향한다.
패션뷰티디자인 스튜디오는 연구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 재학생들의 세부 전공을 중심으로 심화된 패션뷰티 프로젝트를 통한 전공과정의 연구와 발전을 위한 공간이다.
동시에 패션뷰티 시장과 디자인을 체계적인 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각종 세미나, 현장학습등을 제공해 K-뷰티 및 패션관련 업계 전문가들과 소통할 수 있게 돕는다. 이를 통해 K-뷰티 비즈니스비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전문적이고 폭넓은 연구가 가능하다.
다양한 분야가 서로 융합되며 협업을 통한 창의적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시대적 특징으로 자리잡은 지금, 패션디자인과 패션액세서리디자인, 패션비지니스 과정과 연계하여 전공 수업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학습의 자율성과 확장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아이디어 발전 및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탐구할 수 있다.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2023년 후기 신입생 모집
한편,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은 2023년 후기 신입생 모집에 들어선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4월 10일부터 4월 24일까지 원서접수가 가능하며, 자세한 모집 내용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석사과정 신입생을 모집하며 패션디자인전공, 패션비즈니스전공, 패션뷰티디자인전공, 패션액세서리디자인전공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