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2.10.05 10:29
10월 4일~6일, 한국-독일 공통으로 직면한 사회문제 토론, 사회적 비전 찾는 학술의 장

서강대학교(총장 심종혁)는 10월 4일~6일까지 마태오관 리셉션홀에서 ‘지구위기’(Earth in the Crisis)’를 주제로 ‘제13차 한-독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한-독 학술대회는 서강대와 독일의 아이히슈테트-잉골슈타트 두 대학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학회로 양국이 공통으로 직면한 사회문제를 학자, 현장 실무가, 운동가 등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토론하며 더 나은 사회적 비전을 찾으려는 학술의 장이다. 1997년 창설 이후 ‘세계화’, ‘사회적 요구’, ‘분단국가의 통일과 사회통합’, ‘인권’, ‘노동의 가치’, ‘사회복지국가’, ‘이주’, ‘세계화 시대의 윤리문제’, ‘변화 속의 가족’, ‘연대’, ‘정체성과 인격’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논의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한 해답을 모색해 왔다.
‘지구위기’를 주제로 하는 본 학술대회는 최근 코로나19 대유행과 이상기온으로 위협받는 인류의 현실을 전 지구적 차원에서 해결해나가야 한다는 의식에 기인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창궐과 기후 온난화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지구 온난화’와 ‘생물 종의 멸종’ 등 ‘지구 위기’로 표현되는 지질 역사상 초유의 도전에 맞서 인류는 공동선을 지향하는 정치 행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연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학적 근거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탄소 배출’의 가속화로 인한 온실효과는 현재 지구온난화를 불러왔다. 문제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소비하고 있는 에너지와 의식주의 필수품들이 탄소 배출과 관련성이 크고 대체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각국의 경제 수준과 산업구조에 따라 탄소 배출량이 다르며 각국의 이익과 관심이 다르다는 점이다.
통일적인 규제를 할 경우, 국가 간, 산업 간 정의(Jsustice)의 문제가 발생하며, 무임 승차하여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이나 국가에 대한 규제 또한 논의 대상이다. 1990년 12월, 제45차 유엔총회 결의로 정부 간 협상위원회를 만들어 리우, 교토, 파리협약 등의 국제협약 선언을 구체화해 오고 있으나 탄소 배출은 크게 줄고 있지 않다.
지구를 구하는 것보다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것을 먼저 더 걱정하는 각국의 행태나 인간들의 욕망패턴 때문에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는 탄소 집약적인 에너지원을 선호하는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21년 COP26(26차 유엔기후변화당사국총회)이 한 달여 동안 개최 후 폐막하였을 때 시민들은 “실망”을 표출하였고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불행하게도 집단적인 정치적 의지는 모순을 극복하기 충분하지 않다”라고 자평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양국은 현재의 이런 지구 위기 상황에서 철학과 인문 사회과학, 그리고 자연과학자들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한다. 학회 관계자는 “더 늦기 전에 지구와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기존의 분과학문, 윤리학, 생태학, 인간학, 국제정치학만이 아닌 인간과 지구, 자유와 책임, 존재의 개체성과 상호작용, 과학과 철학을 통합할 새로운 지평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