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온택트(Ontact) 시대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특강 개최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온택트(Ontact) 시대의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특강 개최

입력 2021.01.08 10:43

-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를 통한 제67회 한누리 열린 특강 개최
-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김정훈 교수 강연
- 6월부터 총 6회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한국어 교육’ 특강 시리즈 뜨거운 호응

한국어문화학과는 지난 12월 23일(수)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통해 제67회 한누리 열린 특강을 진행했다. 이번 특강은 한양대학교 국제교육원 김정훈 교수가 ‘온택트(Ontact) 시대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강연하였다.
이날 특강은 종강 후 평일 저녁의 늦은 시간에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학업 열의를 가진 한국어문화학과 재학생과 세계 각국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 있는 동문 약 70여 명이 참석하여 언택트 시대에 이루어지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특강을 맡은 김정훈 교수는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온라인 과정의 현황을 소개하며 온라인의 효과적인 수업 방식과 교육 자료, 평가 방법 등 체계적인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위하여 교사와 기관이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강조하였다.
코로나19의 상황에서 국내 한국어 교육기관이 어떻게 온라인 교육 환경에 적응하고 변화해 왔는지, 수업과 과제뿐만 아니라 비대면 평가는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매체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들과 어떻게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여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날 국내외 다양한 곳에서 특강에 참석한 학우들은 온라인 수업 관리의 중요성에 대하여 크게 공감하며 “카카오톡과 줌, 네이버 밴드를 모두 활용한 수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온라인 평가를 원활하게 진행할 방법에 대해 다시 고민해 볼 필요성을 느꼈다.”, “E-book에 관심을 가지고 개발해 보겠다.”라는 등 열성적인 반응을 보이며 풍부한 질의와 토론을 이어나갔다.
한편,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는 2020년 6월부터 코로나 19의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오프라인 특강을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으로 전환하고 ‘온라인 한국어 교육’을 주제로 다양한 한누리 열린 특강 시리즈를 진행해 왔다. 
제62회 특강: 서진숙(경희사이버대학교) ‘온라인 교실에 도전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수업 운영 
제63회 특강: 김시연(중국 상해상학원) ‘COVID-19 시대 한국어교육 이야기 – 중국대학 한국어과 온·오프라인 수업 경험담을 위주로’
제64회 특강: 김수희(경희대 국제교육원) ‘한국어 수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활용’
제65회 특강: 김택수(전국교사교육마술연구회 대표) ‘온라인 교실과 오프라인 교실이 만나는 행복한 시간’
제66회 특강: 김은영(미국 듀크대학교)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 교육 교재 및 부교재 제작’
제67회 특강: 김정훈(한양대 국제교육원) ‘온택트(Ontact) 시대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코로나 19로 인해 국내외 많은 행사들이 위축된 가운데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는 학술문화제, 한누리열린특강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며 새로운 교육 혁신을 주도하여 더욱 눈길을 끌고 있다. 
2019년 최초의 한국어 교육 영상 공모전을 네이버와 공동 주최로 시행하고 2020년 ‘제2회 한국어 교육 크리에이터 공모전’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2021년에는 온라인 교육 환경에서 필요한 한국어 교사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한국어 교육 크리에이터’ 트랙을 신설하는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사회적 요구를 교육에 적극 반영하고 있다.
한국어문화학과장 방성원 교수는 “경희사이버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는 사이버대학 중 최초로 한국어 교육 전공을 신설한 학과로서 교육적 책무를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어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한누리 열린 특강’은 재학생, 동문, 예비 신편입생들에게 활짝 열린 특강이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경희사이버대학교는 오는 2021년 1월 12일(화)까지 2021학년도 신·편입생을 모집한다.
이번 모집학과(전공)는 ▲IT·디자인융합학부 (컴퓨터정보통신공학전공, AI사이버보안전공, ICT융합콘텐츠전공, 산업디자인전공, 시각미디어디자인전공) ▲ 미래인간과학스쿨 (재난방재과학전공, 공공안전관리전공) ▲ 보건의료관리학과 ▲ 한방건강관리학과 ▲ 후마니타스학과 ▲ NGO사회혁신학과 ▲ 상담심리학과 ▲ 사회복지학부(사회복지전공, 노인복지전공, 아동·보육전공, 청소년·가족전공) ▲ 미디어문예창작학과 ▲ 스포츠경영학과 ▲ 실용음악학과 ▲ 일본학과 ▲ 중국학과 ▲ 미국문화영어학과 ▲ 한국어문화학과 ▲ 한국어학과 ▲ 미디어영상홍보학과 ▲문화예술경영학과 ▲ 마케팅·리더십경영학부 (마케팅·지속경영리더십전공, 뷰티·패션산업마케팅전공) ▲ 글로벌경영학과 ▲ 세무회계학과 ▲ 금융부동산학부(금융경제전공, 도시계획부동산전공) ▲ 호텔·레스토랑경영학과 ▲ 관광레저항공경영학부(관광레저경영전공, 항공·공항서비스경영전공) ▲ 외식조리경영학과이다.
수능·내신 성적과 관계없이 자기소개(80%)와 인성검사(20%)로 선발하며,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 또는 동등 학력이인정되는 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원서 접수는 입학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PC 또는 모바일로 하면 된다. 입학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입학지원센터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