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3.20 03:01
한국외국어대학교

1954년 개교 이래 글로벌 프런티어 역할을 수행해온 한국외국어대가 글로벌 지역 전문가, 창의·융합 인재 및 세계와 소통하는 주체적 인문학자 양성을 위해 박차를 가한다.
'국제화'라는 최대 경쟁력을 토대로 다변화된 국제 사회의 수요에 대응하고, 특수외국어 및 지역학 인재 양성의 메카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11개 특수외국어 교육하는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개설
한국외국어대는 교육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이 선정한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전문 교육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특수외국어 교육의 전문성을 국가로부터 공식 인정받은 셈이다.
이에 지난해 6월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전담 조직인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을 개설했다. 보통 특수외국어는 배우려는 학생들의 수요가 부족할 경우 강좌 개설이 어렵지만, 정부 재정 지원으로 직접 수강은 물론 인터넷 강의까지 가능해졌다.
한국외국어대에서는 특수외국어법이 정한 53개 언어 중 몽골어, 스와힐리어, 우즈베크어, 이란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터키·아제르바이잔어, 태국어, 포르투갈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힌디어 등 11개 특수외국어를 중점적으로 교육한다.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은 한국외국어대의 최대 강점으로 꼽히는 외국어 교육 및 평가 노하우, 우수한 교수진, 세계 각국과 맺은 긴밀한 관계, 정통한 현지 사정 등을 토대로 수준 높은 특수외국어 교육을 제공한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선보여, 일반인도 누구나 배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한국외국어대 특수외국어학과의 높은 취업률 역시 주목받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아시아언어문화대학 이란어과가 82.6%, 인도어과와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가 76.9% 등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며 한국외국어대가 특수외국어와 지역학 인재 양성의 메카임을 입증했다.
'국제화'라는 최대 경쟁력을 토대로 다변화된 국제 사회의 수요에 대응하고, 특수외국어 및 지역학 인재 양성의 메카로 입지를 다지고 있다.
◇11개 특수외국어 교육하는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 개설
한국외국어대는 교육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이 선정한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전문 교육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특수외국어 교육의 전문성을 국가로부터 공식 인정받은 셈이다.
이에 지난해 6월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전담 조직인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을 개설했다. 보통 특수외국어는 배우려는 학생들의 수요가 부족할 경우 강좌 개설이 어렵지만, 정부 재정 지원으로 직접 수강은 물론 인터넷 강의까지 가능해졌다.
한국외국어대에서는 특수외국어법이 정한 53개 언어 중 몽골어, 스와힐리어, 우즈베크어, 이란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터키·아제르바이잔어, 태국어, 포르투갈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힌디어 등 11개 특수외국어를 중점적으로 교육한다.
특수외국어교육진흥원은 한국외국어대의 최대 강점으로 꼽히는 외국어 교육 및 평가 노하우, 우수한 교수진, 세계 각국과 맺은 긴밀한 관계, 정통한 현지 사정 등을 토대로 수준 높은 특수외국어 교육을 제공한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선보여, 일반인도 누구나 배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한국외국어대 특수외국어학과의 높은 취업률 역시 주목받고 있다. 2018년 12월 기준 아시아언어문화대학 이란어과가 82.6%, 인도어과와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가 76.9% 등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며 한국외국어대가 특수외국어와 지역학 인재 양성의 메카임을 입증했다.

◇이중 전공 제도로 국제 무역 인재 집중 양성
한국외국어대는 어학 능력과 이중 전공 제도로 준비된 국제 무역 전문가를 양성한다. 특수 지역에 대한 언어 및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경영, 경제, 국제통상 등을 학습하기 때문에 국제 무역에 있어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한국외국어대는 '국제화'라는 최대 경쟁력을 자랑한다. 전 세계 94개국 757개 대학 및 기관과 교류하고 있으며 유능한 동문들이 세계 각지에서 활약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는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은 물론, 매년 300명 이상을 해외 인턴으로 파견해 글로벌 역량과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형 글로벌 종합대학'을 지향하는 한국외국어대는 실무와 학업을 겸비한 지역 전문가 양성을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전략 지역 전문가 아너스(Honor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년 동안(어학연수 6개월+해외기업 인턴 6개월) 해외에서 이론과 실무 경험을 쌓으면서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한국외국어대만의 특화된 국제화 프로그램으로, 현재 아시아언어문화대학 인도어과,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 이란어과, 몽골어과, 동유럽학대학 폴란드어과, 루마니아어과, 헝가리어과, 국제지역대학 그리스·불가리아학과, 중앙아시아학과 등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이 아너스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에서 수학하고 있다.
그 밖에도, 뛰어난 언어 실력 및 품성을 갖춘 학생을 선발해 KOTRA 해외 무역관 인턴, 외교부 재외공관 인턴으로 파견해 전문가적인 소양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글로벌 동문 네트워크 활용, 해외 취업과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한국외국어대는 창업교육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창업동아리 선발대회나 창업캠프를 통해 활동비 등 인프라를 지원하며, 전문가 초청 특강도 수시로 개최한다. 언어, 국제무역, 무역콘텐츠 전공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해외 창업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GEP(Global Entrepreneur Program)', ICT기술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기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TEP(Technology Entrepreneur Program)'를 운영하며, 이 두 가지를 융합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적인 글로벌 창업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해외취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는 영문이력서 작성은 물론 해외취업지원 컨설팅, 외국어 모의면접을 지원하며, 해외취업에 성공한 졸업생들이 국내 방문 시, 해외취업 특강과 멘토링 시간을 갖는다.
또한 해외동문연합회의 동문 네트워크를 통한 해외 인턴십과 해외 취업처를 연계 지원하며, 한국산업인력공단 및 글로벌 해외 리쿠르팅 기업들과 연계해 다양한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국외국어대는 어학 능력과 이중 전공 제도로 준비된 국제 무역 전문가를 양성한다. 특수 지역에 대한 언어 및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경영, 경제, 국제통상 등을 학습하기 때문에 국제 무역에 있어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한국외국어대는 '국제화'라는 최대 경쟁력을 자랑한다. 전 세계 94개국 757개 대학 및 기관과 교류하고 있으며 유능한 동문들이 세계 각지에서 활약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는 이러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은 물론, 매년 300명 이상을 해외 인턴으로 파견해 글로벌 역량과 직무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미래형 글로벌 종합대학'을 지향하는 한국외국어대는 실무와 학업을 겸비한 지역 전문가 양성을 위해 지난 2016년부터 '전략 지역 전문가 아너스(Honor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년 동안(어학연수 6개월+해외기업 인턴 6개월) 해외에서 이론과 실무 경험을 쌓으면서 학점을 인정받을 수 있는 한국외국어대만의 특화된 국제화 프로그램으로, 현재 아시아언어문화대학 인도어과,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 이란어과, 몽골어과, 동유럽학대학 폴란드어과, 루마니아어과, 헝가리어과, 국제지역대학 그리스·불가리아학과, 중앙아시아학과 등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이 아너스 프로그램을 통해 해외에서 수학하고 있다.
그 밖에도, 뛰어난 언어 실력 및 품성을 갖춘 학생을 선발해 KOTRA 해외 무역관 인턴, 외교부 재외공관 인턴으로 파견해 전문가적인 소양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글로벌 동문 네트워크 활용, 해외 취업과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한국외국어대는 창업교육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창업동아리 선발대회나 창업캠프를 통해 활동비 등 인프라를 지원하며, 전문가 초청 특강도 수시로 개최한다. 언어, 국제무역, 무역콘텐츠 전공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해외 창업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는 'GEP(Global Entrepreneur Program)', ICT기술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기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TEP(Technology Entrepreneur Program)'를 운영하며, 이 두 가지를 융합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적인 글로벌 창업 인재를 육성하고 있다.
해외취업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는 영문이력서 작성은 물론 해외취업지원 컨설팅, 외국어 모의면접을 지원하며, 해외취업에 성공한 졸업생들이 국내 방문 시, 해외취업 특강과 멘토링 시간을 갖는다.
또한 해외동문연합회의 동문 네트워크를 통한 해외 인턴십과 해외 취업처를 연계 지원하며, 한국산업인력공단 및 글로벌 해외 리쿠르팅 기업들과 연계해 다양한 해외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