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성공센터, 학생 개개인에 맞춤형 서비스… 미래 인재위한 SW교육도 혁신

학생 성공센터, 학생 개개인에 맞춤형 서비스… 미래 인재위한 SW교육도 혁신

조선일보
입력 2019.03.20 03:01

성균관대학교

환하게 웃고 있는 성균관대 학생들 모습. / 성균관대 제공
성균관대가 학생 성공을 위한 다양한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며 한 단계 더 높게 도약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른 대학들 보다 한발 앞서 융합과 인포매틱스, 인공지능(AI) 등 트렌드를 주도하는 교육 모델을 구축한 데 이어, 올해 초에는 국내 대학 최초로 학생 개개인의 전주기 맞춤형 지원과 진로 상담이 가능한 '학생성공센터'를 신설했다. 이 센터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는 열린 캠퍼스로, 글로벌 리딩 대학(Global Leading University) 비전을 실현할 요람으로 기대된다.

◇학생을 위한 전주기적 지원 '학생성공센터'

'학생성공센터(Student Success Center)'는 그동안 다양한 부서에서 제각기 운영되던 학생지원 시스템을 '학생 성공'이라는 궁극적 목표를 중심으로 재구조화한 조직이다. 성균관대는 이 센터를 통해 다양한 학생지원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학생 성공을 위해 전주기적으로 밀착 지원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학생들은 언제든지 학생 성공센터를 찾아가 자신의 고충을 털어놓을 수 있고, 학교는 학생들의 꿈, 진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개인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융합 인재를 육성하는 대학교육 혁신센터 또한 성균관대의 자랑이다.

대학혁신과 공유센터, 교육개발센터, 공학교육혁신센터 등 다양한 역량 기반 교육기관에서는 융합을 주제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학생들은 다학제다학년 융합팀을 결성, 글로벌 이슈와 지역사회 문제를 탐색하고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르는 '융합기초 프로젝트'를 비롯해 글로벌 산업체를 방문하고 소프트웨어 및 인포매틱스 기술을 선도하는 대학과 교류하는 '글로벌 캠프'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창의 역량, 융합 역량, 혁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대학교육혁신센터 이상원 센터장은 "Creative-School에서 운영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은 학문 간 장벽을 허물고 학생들이 진정한 융합을 통해 자신의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도록 해주는 창의적 교육과정"이라며 "Creative-School교육 프로그램을 특성화학과뿐만 아니라 성균관대 전 학과를 대상으로 공개해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융합 체험활동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글로벌 국토대장정에 참여한 학생들의 모습.
◇미래사회 인재 양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성균관대는 국제 경쟁력을 갖춘 소프트웨어 전문 인력과 융합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혁신에 앞장서고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성균관대는 2016년부터 모든 신입생에게 소프트웨어 기초소양 교육을 의무화했다. 현재 성균관대 모든 신입생은 소프트웨어 교육 4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 관련 강의도 17개에 이른다. 그밖에 기존 소프트웨어학과나 컴퓨터공학과와 별도로 비전공자에게 소프트웨어를 가르치는 성균소프트웨어교육원(SSEN)을 설립해 그동안 프로그램 개발자 양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대학 소프트웨어 교육을 보편 교육으로 전환하고 있다. 더 나아가 성균관대는 인공지능 분야의 글로벌 리더 양성 전진기지가 될 '인공지능 대학원'도 특화시키고 있다.

성균관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2017년에 지능정보융합원을 설립했고, 올해는 일반대학원에 'AI로봇학과'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를 신설했다. 올해 초부터는 학부에도 인포매틱스융합전공, 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 등을 신설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의 교육과 연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AI대학원에서는 석사 40명, 박사 10명 등 총 50명을 모집하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분야 최고 전문가 15명이 전임교원으로 합류해 깊이 있는 교육과 연구를 수행한다. 정부 및 지자체(경기도, 수원시)-출연기관(ETRI, AIRI, KISTI)-산업체(글로벌기업, 대기업, 중소, 벤처기업)-해외 기관(연구자) 등과 산학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을 연구하게 된다.

신동렬 성균관대 총장은 "성균관대는 수년 전부터 초 연결사회에 대비한 융합 연구를 지원하고 글로벌 협력 지평을 확대해 교수와 학생이 함께 참여하는 수월성 기반 교육과 연구 시스템에 투자하고 있다"며 "학생 성공과 미래 가치를 창출해 국가와 인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벌 리딩 대학이 되도록 끊임없이 혁신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