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5.05.27 16:40
지역사회·미래세대 핵심 과제 본격 추진, 미래인재 양성대학 도약
서울시민‘삶의 질 향상’실질적 공공파트너 자리매김 교두보 마련

덕성여자대학교(총장 김건희)는 서울특별시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2025년도 서울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덕성여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총 16.5억 원 규모의 국비 및 시비를 확보하고, 지역사회와 미래세대를 위한 두 개의 핵심 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지난 2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서울혁신대학지원위원회’를 열고 총 35개 대학(일반대 26개, 전문대 9개)을 RISE 사업 수행대학으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덕성여대는 두 개의 단위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덕성여대는 이번 사업에서 ▲지역 현안 문제 해결 과제와 ▲서울 미래키움 교육지원 생태계 구축 과제에 각각 선정되어 지역 맞춤형 대학혁신 모델을 구현하게 되었다.
덕성여대가 진행하게 될 첫번째 사업은 ‘지역 현안 문제 해결’로 사학전공 최주희 교수가 과제 책임을 맡게 된다. 이 과제는 덕성여대가 단독으로 수행하며, 서울 동북권의 지역 문제를 진단하고, 특히 여성·역사·문화 등 인문사회 특성화 역량을 바탕으로 실천형 연구 및 정책 개발을 통해 주민참여 기반의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특히, 이 과제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회복에 중점을 둔다. 강북구 장미원시장, 백년시장, 도봉구 백운시장 등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상호 돌봄과 연대의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서로 돌봄의 시장(Mutual Market)'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거북배송’ 시스템, ‘자부심 상회’ 등 주민 참여형 상권 모델을 개발·운영함으로써 고령화와 상권 공동화를 겪고 있는 서울 동북권의 지역 재생을 실현할 예정이다.
두번째 사업은 ‘서울 미래키움 교육지원 생태계 구축’으로 과제 책임자는 아동가족학전공 강수정 교수와 박우철 교수가 맡는다. 해당 과제는 건국대학교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으로, 덕성여대는 동국대와 함께 참여대학으로 선정되었다. 덕성여대는 아동교육, 가족교육 등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돌봄,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하게 된다.
이 과제의 핵심은 AI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다. 특히 초등학생을 위한 AI 튜터 기반 맞춤형 학습 플랫폼과, 버추얼 캐릭터를 활용한 뉴스 리딩, 외국어 학습, AI 드로잉, 메타버스 기반 진로 탐색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강화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을 높이는 교육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덕성여대는 도봉구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족센터 등과의 연계를 통해 현장 기반 실증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서울시 디지털 교육의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 RISE 사업은 중앙정부의 대학 재정지원 예산 집행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하여, 지역과 대학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 정책모델이다. 덕성여대는 이번 사업 참여를 통해 여성과 교육 중심대학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고, 서울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실질적인 공공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는 교두보를 마련했다.
김건희 총장은 “이번 RISE 사업 선정은 우리 대학의 지역사회 기여 역량과 미래교육에 대한 비전을 인정받은 성과”라며 “서울시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육혁신 모델을 실현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자세로 책임 있는 대학의 가치를 증명해 보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