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대, 수도권 대학 유일 ‘디지털새싹 사업’ 6회 연속 선정

한신대, 수도권 대학 유일 ‘디지털새싹 사업’ 6회 연속 선정

입력 2025.05.08 10:33

- 오는 12월까지 초·중·고 학생 4,800여 명에게 맞춤형 디지털 교육 제공
- AI아트코딩 교육 선도… 소외계층 디지털 격차 해소에도 앞장

▲ 지난해 열린 ‘디지털새싹 캠프 강사 워크숍’ 참석자들의 모습
한신대학교(총장 강성영)가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는 ‘2025년도 디지털새싹 사업’에 수도권 대학 중 유일하게 6회 연속 선정됐다. 이로써 한신대의 우수한 SW·AI 교육역량을 더욱 인정받게 됐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디지털새싹사업단은 오는 12월까지 국비 약 12억 원을 지원받아 경기도 초·중·고 학생 4,800여 명에게 맞춤형 디지털 교육을 제공한다. 
프로그램 운영에 앞서 ICT융합 전문기술교육기관인 ㈜플레이코드와 (사)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와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교과 연계 인공지능(AI) 소양, 데이터 문해력, 미래 진로 탐험 교육을 목표로 특수(장애인)·다문화·도서벽지 학생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게 디지털 교육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Triple-A&C(Art, Act, Able, Care, Connet, Create)역량 중심의 전국 확산형 AI 아트 코딩’ 캠프를 운영할 예정이다. 
주요 교육과정으로는 ‘AI문학코딩: Creative동화 작가의 상상공작소’, ‘AI과학코딩: AI아트코딩으로 지구를 구하라!’, ‘미디어와 떠나는 퍼스널 브랜딩 어드벤처’, ‘AI문화재 탐정단, 별점 테러범을 잡아라!’, ‘AI음악코딩: Colorful 뮤비 감독의 상상공작소’, ‘춤으로 찍는 바·코·드: 바디·코딩·드림!’ 프로그램이 있다. 
한신대 김애영 디지털새싹사업단장은 “2022년부터 한신대 AI·SW대학 교수들은 자체 개발한 AI아트코딩 교육프로그램을 학년별·수준별로 구성했다. 프로그램은 초·중등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운영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소외계층에게도 디지털 교육의 기회를 계속 제공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디지털 새(New)싹 캠프(Software·AI Camp)’란 전국의 초·중·고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체험과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는 사업으로, 대학과 기업 등 다양한 디지털 교육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전국 단위로 실시하는 캠프이다. 100여 개 기관이 참여해 2만 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며 20만여 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내가 본 뉴스 맨 위로

내가 본 뉴스 닫기